[BOJ][삼성기출] 백준 20056번 -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볼 풀이


문제

어른 상어가 마법사가 되었고, 파이어볼을 배웠다.

마법사 상어가 크기가 N×N인 격자에 파이어볼 M개를 발사했다. 가장 처음에 파이어볼은 각자 위치에서 이동을 대기하고 있다. i번 파이어볼의 위치는 (ri, ci), 질량은 mi이고, 방향은 di, 속력은 si이다. 위치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격자의 행과 열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1번 행은 N번과 연결되어 있고, 1번 열은 N번 열과 연결되어 있다.

파이어볼의 방향은 어떤 칸과 인접한 8개의 칸의 방향을 의미하며, 정수로는 다음과 같다.

1
2
3
7  0  1
6     2
5  4  3

마법사 상어가 모든 파이어볼에게 이동을 명령하면 다음이 일들이 일어난다.

  1. 모든 파이어볼이 자신의 방향 di로 속력 si칸 만큼 이동한다.
    • 이동하는 중에는 같은 칸에 여러 개의 파이어볼이 있을 수도 있다.
  2. 이동이 모두 끝난 뒤, 2개 이상의 파이어볼이 있는 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1. 같은 칸에 있는 파이어볼은 모두 하나로 합쳐진다.
    2. 파이어볼은 4개의 파이어볼로 나누어진다.
    3. 나누어진 파이어볼의 질량, 속력,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질량은 ⌊(합쳐진 파이어볼 질량의 합)/5⌋이다.
      • 속력은 ⌊(합쳐진 파이어볼 속력의 합)/(합쳐진 파이어볼의 개수)⌋이다.
      • 합쳐지는 파이어볼의 방향이 모두 홀수이거나 모두 짝수이면, 방향은 0, 2, 4, 6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1, 3, 5, 7이 된다.
    4. 질량이 0인 파이어볼은 소멸되어 없어진다.

마법사 상어가 이동을 K번 명령한 후, 남아있는 파이어볼 질량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 M,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파이어볼의 정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파이어볼의 정보는 다섯 정수 ri, ci, mi, si, di로 이루어져 있다.

서로 다른 두 파이어볼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출력

마법사 상어가 이동을 K번 명령한 후, 남아있는 파이어볼 질량의 합을 출력한다.


제한

  • 4 ≤ N ≤ 50
  • 0 ≤ M ≤ N2
  • 1 ≤ K ≤ 1,000
  • 1 ≤ ri, ci ≤ N
  • 1 ≤ mi ≤ 1,000
  • 1 ≤ si ≤ 1,000
  • 0 ≤ di ≤ 7


풀이

삼성에서 꾸준히 출제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유형의 문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 풀이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꼼꼼히 읽고 조건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보드판 한 칸에 여러 파이어볼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파이어볼을 원소로 갖는 vector 의 2차원 배열을 선언해야한다. 그에 따라 파이어볼을 표현하는 구조체 를 선언해주는 것이 문제를 수월하게 풀 수 있다.

구현에 앞서 유의해야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보드판의 처음과 끝의 연결
  • 파이어볼의 결합 시 질량/방향/속도 의 변화
  • 파이어볼의 소멸

이 문제의 정답률은 현재 약 28% 로 매우 낮은편인데, 문제가 어렵다기보단 자잘한 조건들이 많은만큼 위 3가지 사항들에 대해서 구현헐 때 조건을 누락하거나 실수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누락하는 조건 없이 꼼꼼히 구현해준다면 무난히 정답처리를 받을 수 있다.


전체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N,M,K;
const int dy[8]={-1,-1,0,1,1,1,0,-1};
const int dx[8]={0,1,1,1,0,-1,-1,-1};

struct Fireball{
    int r,c,m,s,d;
    Fireball(int r,int c,int m,int s,int d):r(r),c(c),m(m),s(s),d(d){}
};

vector<Fireball> board[50][50];

Fireball move(Fireball f){
    for(int i=0;i<f.s;i++){
        f.r += dy[f.d];
        if(f.r==N) f.r=0;
        else if(f.r==-1) f.r=N-1;

        f.c += dx[f.d];
        if(f.c==N) f.c=0;
        else if(f.c==-1) f.c=N-1;
    }
    return f;
}

void moveFireballs(){
    vector<Fireball> newBoard[50][50];

    for(int i=0;i<N;i++){
        for(int j=0;j<N;j++){
            for(Fireball f:board[i][j]){
                Fireball next = move(f);
                newBoard[next.r][next.c].push_back(next);
            }
        }
    }

    for(int i=0;i<N;i++)
        for(int j=0;j<N;j++)
            board[i][j]=newBoard[i][j];
}

void unionFireballs(){
    for(int i=0;i<N;i++){
        for(int j=0;j<N;j++){
            if(board[i][j].size()<2) continue;

            int totN=board[i][j].size();
            int totM=0, totS=0, chk=0;

            for(Fireball f:board[i][j]){
                totM += f.m;
                totS += f.s;
                if(f.d%2==0) ++chk;
                else --chk;
            }

            board[i][j].clear();

            if(totM/5==0) continue;

            for(int k=0;k<4;k++){
                if(abs(chk)==totN)
                    board[i][j].push_back(Fireball(i,j,totM/5,totS/totN,k*2));
                else
                    board[i][j].push_back(Fireball(i,j,totM/5,totS/totN,k*2+1));
            }
        }
    }
}

int main(){
    ios_base::sync_with_stdio(0);
    cin.tie(0);

    cin>>N>>M>>K;

    for(int i=0;i<M;i++){
        int r,c,m,s,d;
        cin>>r>>c>>m>>s>>d;
        board[r-1][c-1].push_back(Fireball(r-1,c-1,m,s,d));
    }

    while(K--){
        moveFireballs();
        unionFireballs();
    }

    int ans=0;
    for(int i=0;i<N;i++)
        for(int j=0;j<N;j++)
            for(Fireball f:board[i][j])
                ans+=f.m;

    cout<<ans;

    return 0;
}
0%